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채권 투자 + 월 배당 ETF 소개# Kodex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합성 H),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자산 공부

by memomo 2024. 5. 13. 17:12

본문

1. Kodex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

 

 

2.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소개

 

1. 삼성증권(Kodex)에서 만든 커버드콜 미국 국채 ETF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고채를 매수하고, 미국 상장 TLT ETF(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콜 옵션 매도를 통해 연 12%의 분배 재원을 확보하는 전략의 지수입니다." - 증권사 소개멘트

 

 

2. 엔화로 사는 미국 국채 ETF (엔화 투자 + 미국 국채 투자)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T1530 JPY Currency Hedged Index (원화환산)를 비교지수로 하여 운용하는 액티브 ETF" - 증권사 소개멘트

 

 

특징

 

1. Kodex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

 

- 개인연금/퇴직연금 계좌에서 매수 가능

- 미국채 30년물 투자

- 환율 헷징(H) (=원달러 가격에 영향 안받도록 설계)

- 총 보수 0.25%

 

- 옵션 매도를 통한 월 1% 배당

- 기존의 장기 채권 ETF(TLT) + 장기 채권 커버드콜 ETF(TLTW)가 혼합된 형태

(옵션매도를 일정 비율만 이용하여 월1% 정도만 맞춤)

 

 

* 장기채권 가격 떨어지면(= 채권금리가 오르면) 손해가 발생함 (커버드콜로 하면 일정 수준 헷징되는 정도)

 

2.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 개인연금/퇴직연금 계좌에서 매수 가능

- 미국채 30년물 투자

- 달러 환율 헷징(H) (=엔달러 가격에 영향 안받도록 설계)

- 총 보수 0.15%

 

- '엔화'로 '채권'을 사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엔화 상승분 + 채권 상승분이 모두 반영되는 ETF  

- 배당은 월 0.35% 정도(4월 30일 기준) (매달 다를 수 있음, 채권 이자 정도)

 

 

 

장기 채권 전망

 

- 장기 채권 금리

10년간 채구너차트

 

 

- 미국의 공격적인 금리인상과 함께 작년 10월 5% 정점을 찍고서, 인플레이션 하락, 경기침체 우려,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급락함. 최근 인플레이션이 재반등하면서, 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진다는 분위기로 인하여  다시 올라온 상태 

 

 

- 다만, 금리인상은 없을거라고 최근 FOMC에서 다시 확인하였고, 미국의 고금리(5.5%)는 현재  10개월 이상 지속중임. (고금리를 계속 유지하면 경기가 어려워 질 것이라는 전망 있음)

미국의 최근 10년 금리

 

 

- 인플레이션이 크게 높아지거나 실업률이 갑자기 낮아지는게 아니라면 장기적으로는 금리는 내려갈 상황 => 채권 가격은 현재가 싼 것 아닐까

 

(단기적으로는 이번주 수요일 4월 CPI (소비지표) 발표 이후 변동 가능성 있음)

 

- 최근 (5/10) 기대인플레이션 다소 높게 나왔지만, 1분기 소비주 실적(스타벅스 등)이 꺾인 점, 제조업 지수, 서비스업 지수가 낮아진 점에서 인플레이션이 더 높이지긴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됨.

 

-  혹시나 물가상승률이 안 내려가면 실질금리(= 장기금리 - 물가상승률) 때문에 장기채 금리가 내려가기 어려울 수 있음.

 

=> 커버드콜로 하면 금리가 횡보하더라도 옵션매도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1번 상품의 장점이 있음. 

(그래서, 장기채 보단 단기채가 나을 것 같은데 단기채 커버드콜 ETF는 없는 것으로 보임)

 

+ 지금도 2년물 금리가 10년물보다 높은 금리차 역전 현상이 있다보니, 장기적으로는 2년물 금리가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음

 

 

 

- 찾다보니, 1번 상품의 ETF 이름이 자극적이나, 결국엔 그냥 TLTW나 아래와 같이 다른 채권커버드콜 상품과 별 차이는 없는 듯함. 

 

 

 

 

 

엔화 전망

 

- 엔달러의 경우, 2020년부터 미국의 금리인상과 함께 금리차이로 인하여 30년만에 고점 수준.

30년 엔달러 그래프

 

 

- 최근 일본은 아래 그래프처럼 약 17년 만에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마이너스 금리에서 벗어남(-0.1% -> 0.1%). 본격적으로  i) 일본의 금리인상이 시작되거나 ii) 미국이 금리를 낮추기 시작할 경우, 금리차가 줄어 엔화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일본의 최근 10년 금리

 

(현재까지는 일본에서 제로금리로 돈을 빌려서 달러로 바꾸어 미국 주식 등을 사는 '엔 캐리' 자금이 많은 상황.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달러 -> 엔화가 발생하면서 엔화 가치 상승이 예상됨)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4/03/20/VPNEIYZ3A5A2XMNT3FJDC6JV4Q/

 

20조 달러 ‘엔 캐리’ 일부, 일본으로 돌아갈 가능성

20조 달러 엔 캐리 일부, 일본으로 돌아갈 가능성 WSJ 천천히 움직이는 쓰나미 장기적 파장 클 것으로 예상

www.chosun.com

 

 

- 일본의 경기가 회복된다는 뉴스들 있었음.  (경기 좋아지고, 임금, 물가 오른다 -> 인플레이션 상승 -> 금리 인상 가능)

 

 

 

- 다만, 일본 경기가 좋아보이는 것은 엔저 현상으로 인한 것이고, 경기 여전히 안좋고 금리 인상 어려울 수 있다는 의견도 있음.  

 

 


 

 

결론

 


-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가져다주는 월배당 ETF 

 

- 채권, 엔화 투자하기 좋은 시기인 것 같음. 더 내려갈 요소는 많이 없어 하방 대비 상방이 크게 열린 가격대라고 생각되고, 단기적으로는 모르겠으나, 장기적으로는 이득이 될 것으로 예상됨.  

 

- 금리가 언제 내려갈지 모르기에, Kodex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 와 같은 커버드콜 형태로 투자하는 것이 괜찮아 보임.

 

- 엔화도 상당히 매력적인 가격 구간이라고 생각되어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가 상승 여력은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됨.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